-
집중 호우 발생 시 꼭 알아야 할 행동 요령 총 정리생활정보 2022. 8. 10. 20:30
역대급 폭우가 수도권을 강타했는데요. 80년 만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소강상태이지만 다음 주까지 또다시 호우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 폭우는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바람에 피해가 컸는데요.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보다는 미리미리 재난 안전대책을 세우고 예방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은 집중 호우 발생 시 대처 방안과 행동 요령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호우 발생으로 맨홀 뚜껑 범람 태풍, 호우 대비 시 행동 요령
내 지역의 홍수, 태풍, 침수(저지대,하천), 산사태 등 재해위험요소를 미리 확인하시고 평소 안전한 이동 방법과 대피요령을 가족과 함께 숙지하셔야 합니다.
- 비상시에 만날 장소를 가족과 미리 정하세요.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즉시 가족과 연락하여 안전한 곳으로 함께 이동하세요.
- 대피시 위험한 지름길(하천변, 산길 등)과 도로, 교량이 휩쓸려간 길은 피하세요.
- 대피장소 및 이동경로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정비하세요.
▶재난 발생을 대비해 미리 비상용품을 준비하세요.
재난 발생 시 비상용품 비상식품(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식품)
☞ 생수, 통조림, 라면
구급약품(연고, 감기약, 소화제, 지병약 등이 포함된 구급함)
☞ 연고, 감기약, 소화제
생활용품
☞ 간단한 옷, 화장지, 물티슈, 라이터, 여성용품, 비닐봉지
기타
☞ 소화기, 라디오, 손전등, 휴대전화, 비상금, 연락망
- 비상용품을 한 곳에 모아 두고 비상시 바로 휴대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세요.
- 차량이 있다면 연료를 미리 채워 두세요.
태풍, 호우 발생 시 대처 요령
구급대원의 구출작업과 계단침수 ▶ 실내
안전을 위해 외출을 자제하세요.
- TV, 라디오 등으로 기상정보를 청취하며 내 지역 상황을 꾸준히 관찰하세요.
- 외부에 있는 가족, 지인과 연락하여 안전을 확인하고 재난정보를 공유하세요.
- 건물, 집안 등 실내에서의 안전수칙을 숙지하세요.
- 건물의 출입문, 창문은 닫아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실내에서는 창문이나 유리문에서 되도록 떨어져 있으세요.
- 바람으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가급적 욕실, 창문이 없는 방, 집안의 제일 안쪽으로 이동하세요.
- 가스 누출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차단하세요.
-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만지지 마세요.
- 정전 시에는 양초를 사용하지 말고 휴대용 손전등을 사용하세요.
▶ 실외
위험 지역은 접근하지 말고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세요.
- 상습침수지역, 산간·계곡에 있는 경우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세요.
-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지하공간에는 접근하지 마세요.
- 개울, 하천변, 해안가에 접근하지 마세요.
- 이동식 가옥, 가시설, 지하실 등에 거주할 경우, 단단한 건물로 즉시 이동하세요.
▶ 하천
집중호우가 시작되면 하천에 접근하지 마세요.
- 하천 내 있을 경우 교량하부 등에서 비를 피할 경우 하천수위가 빠르게 상승하여 고립될 수 있으므로 가까운 진출입로를 확인하고 신속히 하천 밖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긴급상황 발생 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자동차(운전 중)
자동차 침수 - 속도를 줄여서 운전하세요.
-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지하차도 등 급류에 휩쓸리거나 침수위험이 있는 지역은 접근하지 마세요.
- 운행 중인 경우, 자동차의 속도는 줄이고, 물에 잠긴 도로나 잠수교를 피해 저단 기어로 운행하세요
- 물이 차오를 경우 창문을 내려서 탈출하세요.
▶ 계단 침수될 때
- 신속히 상황을 파악한 뒤 119에 신고하고 수심이 무릎 이하일 경우 재빨리 탈출하세요!
- 슬리퍼, 하이힐 등의 경우 신발을 벗고 맨발로 탈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운동화 이외 신발은 위험!
▶ 집이나 건물 안이 침수될 때
- 가장 먼저 전기 전원을 차단하고 수위가 30cm 종아리 아래 일시 신속히 문을 열고 탈출하세요.
-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면 신속히 119에 신고를 한 뒤 주변 사람들과 힘을 합쳐 대피하세요
▶ 외부 활동 중 하천이 범람할 때
- 필히 안전지대에서 야영하고 대피방송이 나오면 신속히 대피하세요!
- 유속이 빠르고 물이 무릎까지 찰 경우 이동하지 마시고 119 신고 등을 통해 안전 확보 후 이동하세요.
침수로 인한 자동차와 산사태 태풍, 호우 발생 후 대처 요령
가족, 지인과 연락하여 안전을 확인하세요.
- 실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로 신고하세요.
태풍으로 인한 피해 여부를 확인하세요.
- 대피 후 집으로 돌아온 경우 출입 전 피해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주택, 상하수도, 축대, 도로 등의 시설물이 파손되었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시·군·구청으로 신고하세요.
태풍으로 인한 2차 피해를 확인하세요.
- 침수된 도로, 교량, 보도와 하천, 제방 등은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마세요.
- 고립된 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물가 등을 건너지 마세요.
- 빠져나가고 있는 물은 오염된 경우가 많으므로 멀리 떨어지세요.
- 수돗물이나 저장 식수는 오염 여부를 확인 후에 사용하세요.
- 침수된 식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마세요.
- 침수된 주택은 가스, 전기차단기가 내려가 있는지 확인하고, 관련기관의 안전점검 후에 사용하세요.
-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창문을 열어 환기하고, 환기 전까지 성냥불, 라이터는 사용하지 마세요.
☞ 한국가스안전공사 ☎1544-4500
☞ 한국전기안전공사 ☎1588-750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