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독이 되는 인간관계 6가지 특징/속임수를 피하는 방법
    생활정보 2022. 8. 7. 16:25

     

    일상에서 타인을 유혹해서 자신의 필요에 따라 이용하기 위해 조종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게 존재하는데요. 이를 가스 라이팅이라고도 합니다. 악의적 목적을 가지고 접근하는 사람들을 평범한 사람들은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렇게 독이 되는 사람들은 6가지 특징이 있는데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독이되는인간관계-가스라이팅-심리전술
    독이되는 인간관계

     

     은밀한 공격자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욕구, 경계에 어떠한 인정도 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타인을 수단으로 여기고 착취하는 일정 공통된 특징이 있습니다.

     

    미국의 심리학 박사 조지 사이먼(George Simon)은 이러한 사람들을 ‘은밀한 공격라고 규정하며 이들이 주로 활용하는 교활한 전술이 감정에 호소하는 방법을 선택한다고 합니다.

     

    솔직한 자기 의견을 드러내기 두렵게 만들거나 이유 모를 죄책감을 느끼게 되는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그가 은밀한 공격자가 가지는 6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가스라이(GasLighting)

    피해자 스스로가 판단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게 만듦으로써 가스라이터에게 의지하도록 만드는 정신적인 학대이자 세뇌의 일종(emotional abuse)으로 상대방 길들이기를 통해 자신의 대로 통제하고자 하는 일련의 그릇된 행동입니다.

     

    가스라이팅-은밀한공격자-정신적학대
    가스라이팅

     

    1. 유혹하기

    칭찬하는 언어로 상대의 경계심을 낮추고 신뢰감을 산다. 점차 상대는 칭찬과 아첨에 익숙해져 가치 있게 평가되고 그에게 필요한 존재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에 따라 행동하게 된다.

     

    2. 죄책감 조성하기

    침략자가 가장 좋아하는 조종력 중 하나로서 공감을 호소하고 타인의 양심을 겨눠 상대가 스스로 의심하게 하고, 불안을 느껴 복종하도록 한다.

     

    3. 부인하기

    그들이 분명하게 해가 되는 행동을 했음에도 부정하여 오히려 상대가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의 잘못으로 의심하게 만든다.

     

    4. 희생자로 위장하기

    본인을 어떤 상황이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희생자라고 주장하여, 타인에게 동정심을 얻고 원하는 것을 취한다.

     

    5. 거짓말하기

    명백한 거짓말, 교묘한 왜곡 또는 고의적으로 진실을 외면하는 방식으로 상대를 혼란스럽게 한다.

     

    6. 망신주기

    미묘한 비꼼 또는 무시하는 말투를 사용해 상대의 두려움과 자기 의심을 증폭시켜 상대가 스스로 자기 확신을 잃도록 한다.

     

     

     

     

    은밀한공격자-심리전술-두려움-망신-거짓말
    은밀한공격자들

     

     은밀한 공격자들의 목표 대상

    은밀한 공격자들은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목표로 삼습니다.

     

    - 목표감으로 설정된 사람들은 은밀한 공격자가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와는 멀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고 이들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혼란스럽고 불쾌한 감정을 표현하지 않습니다.

     

     은밀한 공격자들의 속임수를 피하는 방법

    1. 교묘한 심리전술을 쓰는 사람을 상대할 때에는, 본인이 느끼는 감정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2.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명확히 규정짓고 자기를 객관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3. 감정을 객관화하면 전전두엽 피질은 자동 변연계 반응에서 벗어나 보다 상황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복잡한 도전에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 자기 통제력 찾기

    주변에 은밀한 공격자가 있다면 그에게 시간과 삶의 에너지를 낭비하지 말고 자기 통제력을 되찾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