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르는 돈이 내 통장에 이체 되는 사기 이용 계좌 대처 요령과 예방 방법
    생활정보 2022. 10. 13. 20:08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이 다양한 수법을 동원해 대포통장을 수집·활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요. 최근엔 모르는 돈이 내 통장에 이체되는 바람에 모든 금융계좌가 지급 정지되어 입출금을 전혀 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보이스 피싱 사기범죄를 당했을 때 대처요령과 예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이스피싱-스미싱-사기범죄-대처요령-예방법
    보이스피싱 사기범죄

     

     보이스피싱이란

    ▶피싱(phishing)

    가짜 금융기관 웹사이트나 위장 메일을 이용해서 개인 인증번호나 신용카드 정보, 계좌 정보 등을 불법적으로 알아내는 사이버 범죄를 의미합니다.

     

     

     

     

     

    보이스피싱-사기범죄-불법-대포통장-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

     

    ▶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음성(전화)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낚아 올린다를 뜻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전기전자통신수단을 이용해 피해자를 속여 재산상의 손해를 입히는 사기범죄를 말합니다.

     

     유래

    1997년 대만에서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 대만에서 급격히 발생이 증가하자 범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대응책 시행했으며 감시단속을 피해 중국대륙으로 본거지 이동

    ▶ 국내 최초의 보이스피싱 사건

    2006. 5. 18. ‘국세청 직원 사칭 환급금 사기 사건발생(800만원 피해)

     

     실제 사기수법

     

    보이스피싱-사기범죄-인터넷-계좌이체-개인정보
    계좌이체 요구

     

    1. 인터넷 상거래 목적으로 공개된 계좌번호를 이용해 사기 피해금을 이체한 후 착오송금을 사유로 계좌이체 요구

    2. 알바구직자를 대상으로 구매대행, 환전 업무 등이라 속이고 개인정보 요구, 사기 피해금 이체한 후 재이체 또는 현금 전달 요구

    3. 문자, SNS 등을 통해 단기 고수익 명목으로 통장 대여 요구

    4. 금융회사를 가장해 대출이 필요한 자에게 입출금 거래실적을 늘려야 한다고 요구

     

     대처 요령

    ▶모르는 돈을 이체받은 경우

    - 모르는 돈이 이체된 후 출처가 불분명한 전화번호를 통해 재이체또는 현금인출 후 전달을 요구할 경우, 즉시 거절하고 바로 해당 송금은행에 착오송금 사실 전달

     

    ▶ 채용 과정에서 통장 요구 시

    정식 채용 이전 단계에서 신분증 사본, 통장 계좌번호 등을 요구 시 무조건 거절

    ▶ 통장 모집 문자 수령 시

    통장 대여·양도나 본인계좌를 통한 자금의 이체·현금인출은 불법이니 무조건 거절

     

     대포 통장 명의인 등록 시 불이익

     

    대포통장-사이버범죄-사기범죄-보이스피싱
    사이버범죄자

     

     

    1. 해당 계좌의 지급정지 및 전자금융거래(인터넷·모바일뱅킹) 제한

    2. 대포통장 명의인은 등록일로부터 1년 이상 신규 통장개설 제한

    3. 대포통장 양수도·대여 시 최대 징역 5, 벌금 3천만 원 부과 대상

    4. 범죄 인식 정도에 따라 사기죄, 사기방조죄 등으로 형사처벌 대상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될 경우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의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 시스템 활용합니다. 최근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이 통장 신규개설이 어려워지자 교묘하고 다양한  사기수법을 통해 대포통장을 수집 활용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사항

    금융감독원 콜센터 ☎ 1332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