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유두종바이러스(HPV)원인과 조기 예방/감염위험도 자가 체크
    건강한 삶 2023. 3. 20. 14:59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는 여성 10명 중 8명이 일생에 한 번은 걸릴 정도로 흔하게 발생합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지속되면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인유두종바이러스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고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위험도를 자가로 체크할 수 있는 리스트도 소개하겠습니다.

     

    HPV-인유두종바이러스-자궁경부암-성접촉
    인유두종바이러스란

     

     

    인유두종바이러스란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는 피부 각질세포층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생식기사마귀, 자궁경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입니다. 현재 발견된 인유두종바이러스는 100가지가 넘는데요. 이 중 약 40가지가 생식기에서 발견됩니다.

     

     원인

    인유두종바이러스의 1차 전염 경로는 성접촉인데요. 그 밖에 손과 생식기 접촉, 구강과 생식기 접촉으로 감염되며, 임신 중 태반을 통해 아이에게 옮길 수 있습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는 감염되어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감염 사실을 즉시 알 수는 없습니다.

     

     

    자궁경부암의 원인

    자궁경부암의 가장 큰 원인은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입니다. 자궁경부암에 걸린 여성의 99.7%에서 HPV가 검출됩니다. 서바릭스·가다실 등 HPV 예방 백신을 흔히 '자궁경부암 백신'이라 부르는 이유입니다.

     

     HPV의 다양한 유형

    HPV는 자궁경부암이나 질암, 외음부암 외에도 구인두암, 항문암, 생식기 사마귀 등 각종 암과 질환을 유발합니다. 국제유두종바이러스협회(IPVS)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암 중 5%HPV와 관련 있다고 합니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99.7%HPV 감염이 확인되고, HPV 16, 18형은 두경부암, HPV 6, 7, 16, 32형은 두경부암 중에서도 구강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두경부암으로 분류되는 구강암과 인두암의 80%에서 HPV 감염이 원인입니다.

     

    HPV-인유두종바이러스-자궁경부암-경로-성접촉-두경부암-다양한변이
    HPV의 다양한 변이

     

    변이가 잘되는 특징

    HPVDNA 바이러스지만 변이가 잘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DNA10%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서로 다른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HPV는 전체 유형이 100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 중 남녀 생식기 감염을 유발하는 유형이 40여 개나 됩니다.

    남녀 가리지 않는 다양한 질환

    인유두종바이러스는 피부에 사마귀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발바닥에 생기는 티눈과 유사한 족저사마귀, 얼굴·이마 등에 생기는 편평 사마귀도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깁니다. 생식기사마귀(곤지름)는 약 90%가 인유두종바이러스 6·11번에 의해 생깁니다.

    위험한 HPV유형

    가장 위험한 건 HPV 16형·18형입니다. 자궁경부암은 물론 항문암(편평상피암)의 주요 원인으로 고위험 바이러스에 속합니다.

    HPV의 다른 유형 역시 위험한 건 마찬가지인데요. 성기·항문 등 생식기 주위에 두드러기를 일으키는 생식기사마귀는 거의 전부 HPV 6형과 11형의 감염 때문에 발생합니다. HPV 31형·33형·45형·52형·58형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높은 비율로 발견되면서 주의해야 할 유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HPV에 감염 됐을 경우

    바이러스가 여성의 체내에 들어오면 평균 9개월 생존한다고 합니다. 80~90%는 최장 2년 이내에 인체 면역력에 의해 저절로 치유됩니다. 그러나 16형과 18형에 반복 감염되고, 이 바이러스가 면역력을 버텨내고 장기간 생존·번식하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HPV-인유두종바이러스-자궁경부암-감염-증상-원인-치료
    HPV환자

     

     

    HPV는 남성의 생식기에도 존재하지만 남성에게는 암을 일으키지 않고 '얌전히' 있다가 사멸하거나 성관계 시 여성에게 옮겨갑니다. 남성의 생식기에는 점막 조직이 없기 때문에 감염됐는지 검사하기가 어렵습니다.

     

     HPV예방

    다행히 자궁경부암과 생식기사마귀 등 주요 감염병은 HPV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HPV 백신의 방어 효과는 70% 정도로 특히,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인 16·18형에 대한 예방 효과는 90% 이상에 달합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에 감염되었더라도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을 맞은 사람은 회복이 빠릅니다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백신은 성경험이 없어야 예방 효과가 큽니다.

    남성도 백신 접종

    인유두종바이러스-백신접종-예방-치료-자궁경부암-성접촉
    인유두종바이러스와 백신 접종

     

     

    HPV 백신을 맞으면 여성의 질암, 외음부암은 물론 남성의 음경암, 성별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구인두(혀와 편도선 뒷부분), 항문암, 생식기사마귀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한감염학회도 이런 이유로 여성은 물론 남성에게 HPV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한 명의 파트너와 성관계 유지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면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지만,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습니다. 입이나 손을 통해서도 감염되기 때문인데요. 가장 안전한 건 한 명의 파트너와 성관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HPV(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위험도 자가 체크 리스트

    아래 질문 중 본인에 해당되는 체크 하세요.

     

    □  성경험이 있다.

     만 25세 미만이다.

     

    □  성 파트너수가 여러 명이다.

     

    □  담배를 피운다.

     

      피임약을 복용한다.

     

      채소 및 과일 섭취량이 적다.

     

    □  자궁경부암 가족력이 있다.

     

    □  클라미디아균에 감염된 적이 있다.

     

    □  3번 이상 임신(출산)했다.

     

    체크 표시가 많을수록 감염 위험도가 높습니다.

    (자료제공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