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미크론 증상과 일반 감기 증상의 차이점 정리건강한 삶/코로나정보 2022. 4. 10. 17:00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심해지면서 감기 환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코로나 시국에 맞물려 일반 감기 증상인지 오미크론에 전염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필자도 아들이 확진되는 바람에 조금만 감기 증상이 발생하면 코로나에 감염된 건 아닌지 걱정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필자는 며칠 전부터 콧물이 흐르면서 콧구멍이 붓고 마른기침이 나오면서 몸살 기운도 있길래 혹시나 하여 자가진단키트로 검사를 했습니다. 다행히 음성이 나왔는데요. 여전히 헷갈리는 오미크론 증상과 일반 감기의 차이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기 증상 일반 감기 증상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기는 질환으로 인두염, 후두염, 기관지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보통 감기는 환자 자신이 콧물, 열, 두통, 기침과 같은 증상을 스스로 진단하고 약국이나 병의원에서 치료 합니다.
또 감기는 전신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발열, 오한, 몸살, 두통, 피로감 등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1~2주 안에 호전되며, 3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3주 이상 지속되면 감기가 아닌 다른 질환, 예를 들어 알레르기 비염이나 부비동염, 후비루 증후군의 가능성 등을 생각해야 합니다.
▶환절기에 감기가 잘 걸리는 이유
환절기에는 낮과 밤의 급격한 기온차와 습도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급격한 환경변화와 날씨가 추워지면서 체온의 저하로 호흡기를 통하여 감기 바이러스 침범을 받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또한 감기 바이러스 중 일부는 가을철에 특히 유행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
독감 증상
독감은 일반 감기 증상보다 전신 증상이 훨씬 심하게 나타납니다. 38도가 넘는 고열과 함께 온몸이 떨리고, 기운이 없으며, 두통과 근육통이 심하고, 눈이 아프기도 합니다. 증세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폐렴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일반 감기보다 높습니다.
오미크론 감염 증상
1. 오미크론 감염의 첫 번째 특징 증상은 심한 통증의 인후염입니다. 오미크론 감염은 인후부의 호흡기 상피세포를 집중적으로 감염시킨다. 그 결과 점막의 방어선에 구멍이 나면 구강 내 정상 세균이 점막 아래 조직들을 자극합니다.
2. 두 번째 특징 증상은 인터페론에 의한 몸살입니다.
3. 오미크론 감염의 세 번째 특징은 발열과 오한입니다.
▶오미크론과 델타의 차이
오미크론 바이러스는 인후부의 점막 안으로 파고듭니다. 반면 델타는 점막을 따라 폐 쪽으로 진행합니다. 점막 표면을 기준으로 오미크론은 수직, 델타는 수평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그 결과 오미크론의 경우 주로 인후염, 델타의 경우에는 심하면 폐렴으로 발현됩니다.
오미크론과 델타 감기와 폐렴, 코로나의 차이
- 감기: 증상이 서서히,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심하진 않습니다.
- 독감: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한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이 있습니다.
- 코로나19 감염: 2~3일에서 2주 정도 잠복기를 거친 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폐렴: 호흡곤란(숨이 참), 냄새가 나는 누런 가래, 피로, 발열 등 증상이 다양합니다.▶ 원인과 바이러스가 다름
- 감기는 워낙 200종이 넘는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이라 감염 원인별 약이 없고,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요법 위주로 치료합니다. 리노바이러스 감염은 주로 초가을과 봄에 많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은 추운 겨울, 건조한 날씨에 많습니다.
- 독감은 매년 유행이 예상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기준으로 백신을 만들고 있으며, 타미플루, 리렌자 같은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적용합니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a형과 b형이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데, b형은 한 가지 종류로 증상 정도가 약하지만, a형은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해 사람에게 면역 정보가 없는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경우 전 세계를 휩쓰는 대유행이 될 수 있습니다.
포스트 오미크론 예방과 관리
감기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합니다. 셀프 백신이라 불리는 마스크 착용, 기침 예절, 손 씻기 등을 열심히 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입니다.
보건당국에서는 포스트 오미크론을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확진자의 격리기간이 줄거나 거리두기도 완화될 수 있다고 하네요. 개인적으로 코로나 시국이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마스크는 계속 착용할 예정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