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과 치료 방법건강한 삶 2021. 12. 29. 23:27
▶요즘 사람들은 많은 시간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보냅니다. 이 때문에 손목에 이상이 올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뻣뻣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에 장시간 몰두할 경우 혈액순환 장애로 손이 저린 증상이 생기면서 손목터널 증후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자도 이 세 가지 디지털 기기로 하루를 보내기에 손목이 무리가 가면서 이상 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 뿐만 아니라 요리, 빨래, 청소 등 손목은 늘 쉼없이 움직이고 있기에 손목터널 증후군이란 질병이 발생합니다. 오늘은 손목터널 증후군의 발병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손목터널 증후군의 원인
-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 저림과 손목 통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은 손목의 반복된 사용입니다.
손목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손목터널(수근관)에 염증이 생기거나 근육 또는 인대가 붓게 되는데, 이때 정중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합니다. 정중신경은 엄지손가락과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손가락의 감각 절반과 엄지손가락의 운동 기능 일부를 담당하며 손의 감각이나 엄지를 이용해 물건을 집는 근육의 기능에 관여합니다.
- 이외에 손목터널증후군은 감염이나 손목의 골절로 인한 변형, 관절 탈구, 종양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아울러 직업적으로 컴퓨터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거나 포장하는 업무를 하는 사람, 잘못된 습관 등 반복적으로 손목을 구부리고 펴는 사람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또 비만, 당뇨, 류머티즘 관절염, 갑상선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도 많이 생깁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주요 증상
- 손목터널 증후군은‘수근관증후군’이라고도 부르는데, 손목 앞쪽에 위치하며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는 수근관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서 정중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 손가락과 손바닥 부위의 저림, 화끈거림, 손목이 찌릿하고 뻐근한 느낌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만약 손등과 손목을 서로 맞대고 양 손목을 구부린 상태로 약 30~40초 정도 유지했을 때 손바닥이 아프거나 손이 저리다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손끝이 따끔따끔한 느낌이나 화끈거림이 있으며 저린 느낌 또는 통증이 생깁니다.
- 엄지손가락, 둘째손가락둘째 손가락, 셋째 손가락, 넷째 손가락의 엄지 쪽 반쪽 부위와 이와 연결된 손바닥 피부 감각이 둔해집니다.
- 운전 도중 손이 저립니다.
- 특히 통증이 야간에 심하기 때문에 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손을 주무르거나 털고 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교한 작업이 어려워지고, 단추를 끼우는 일 등 일상생활에서 세심한 운동에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손에 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젓가락질에 장애가 생기고 병따개를 돌리는 힘이 약해지거나 빨래를 짜는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 손바닥 쪽의 피부가 번들거리거나 건조해집니다.
- 증상이 심할 경우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기도 하고 엄지 근육이 위축돼 납작하게 되기도 합니다.
치료 방법과 예방법
- 뻣뻣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에 장시간 몰두할 경우 혈액순환 장애로 손이 저린 증상이 생기면서 손목터널 증후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증상은 아래 소개해 드리는 간단한 체조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손목체조 ① 손바닥이 바깥쪽을 향하게 향하도록 두 팔을 양 옆으로 뻗어주는 것도 경직된 손목을 풀어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② 두 팔을 앞으로 뻗은 뒤 손가락이 하늘을 향하도록 위로 꺾었다가 다시 아래로 향하도록 꺾는 것을 반복하는 것도 좋습니다.
③ 두 손을 주먹 쥐고 손목을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 돌려줍니다.
④ 두 손을 깍지 끼고 손등이 하늘을 향한 상태에서 손바닥이 물결 치듯 손목을 움직여 주는 것도 손목 통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손목을 덜 사용하고 약물치료, 주사 요법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먹을 가볍게 쥔 상태에서 양손을 안과 밖으로 가볍게 돌려주거나 손목을 털어주는 등의 스트레칭이 도움이 되므로 평소 자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손목터널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신경 타진 검사, 수근 굴곡 검사, 정중신경 압박 검사를 진행합니다. 좀 더 정확한 손상 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방사선 검사나 근전도, 신경전도 검사를 시행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 손목터널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자세를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비교적 증세가 가벼운 경우 손목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자제합니다.
이상 디지털 시대 질환 중의 하나인 손목 터널 증후군의 원인과 예방 그리고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