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족 냉증 원인과 치료 방법건강한 삶 2021. 12. 28. 00:23
수족 냉증이란
▶ 수족냉증은 일반적으로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껴 일상생활에 불편이 큰 상태를 말합니다. 수족냉증을 겪는 사람들은 따뜻한 곳에서도 손발의 냉감을 호소하지만 때로는 무릎이 시리며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냉기를 함께 느끼기도 합니다.
▶ 수족냉증을 흔한 증상으로 여겨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오랫동안 방치하는 이가 대다수이지만, 손발의 온기는 건강의 중요한 척도인 만큼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족 냉증의 원인
수족냉증병 ▶ 겨울철 난방이 잘 되는 실내에서도 유난히 손발이 차갑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를 체질 탓이라거나 나이가 들면서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손발저림(수족냉증)은 만성 동맥경화의 하나인 말초동맥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 수족 냉증의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분석이 있습니다.
- 먼저 추위 등 외부 자극에 의해 교감신경 반응이 예민해지고, 이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발에 혈액 공급이 줄어 냉기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입니다. 이외에 출산이나 폐경 등 호르몬 변화 그리고 스트레스, 레이노병, 류마티스성 질환, 디스크나 말초 신경염, 혈관 질환, 갑상선 질환 등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수족냉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수족냉증을 유발하는 요인 중에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것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데, 대체로는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에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이나 발과 같은 말초 부위에 혈액공급이 감소되어 나타납니다.
- 고지혈증, 당뇨 등에 의한 말초혈관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율신경병증이나 말초신경병도 손, 발을 차갑게 만드는 요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수족냉증을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족 냉증 자가진단
아래 표는 수족 냉증 자가진단입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수족냉증 의심하시고 예방하세요.
수족냉증자가진단표 수족 냉증에 피해야 할 음식
▶ 몸을 따뜻하게 하는 등의 생활습관 교정으로 수족냉증은 상당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족냉증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다음 음식들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소화가 잘 안 되는 음식 : 밀가루, 우유, 육류, 기름진 음식, 떡, 김밥 등
- 차가운 성질의 음식 : 오이, 토마토, 가지, 메밀, 보리 등
▶ 따뜻한 곳에 있어도 손발이 차고, 냉기를 강하게 느낀다면 수족냉증을 의심해보고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냉증을 유발하는 원인 질환이 있다면 원인 질환을 치료하고, 특별한 원인이 없다면 생활습관을 개선하거나 약물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켜야 합니다.
수족 냉증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1. 조깅, 등산, 걷기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한다.
2.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꽉 조이는 옷을 입지 않는다.
3. 되도록 추위를 피해 손발을 비롯해 몸 전체를 따뜻하게 유지한다.
4. 따뜻한 물에 20분 이상 반신욕이나 족욕을 한다.
5. 흡연을 금하고, 간접흡연도 되도록 피한다.
6.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7. 혈관을 수축하는 피임약, 심장약, 혈압약 등을 피한다.
8. 수족냉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에 대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관리한다.
※ 수족냉증은 생활 습관을 고치는 것만으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보통 발이나 손만 따뜻하게 하는 경우가 많은데 몸 전체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또, 되도록 여러 옷을 겹쳐 입는 것이 좋고, 혈액순환을 위해 꽉 끼는 옷보다는 편한 옷차림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아울러 따뜻한 물로 족욕, 반신욕을 통해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반신욕은 너무 오래 하면 빈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38~40도 정도의 물에서 약 20분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냉증을 완화하기 위해서 틈틈이 근력운동을 할 필요도 있습니다. 근육량이 늘면 혈액순환을 돕는 기초대사량이 증가하고, 자연스럽게 체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