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궁내막암의 조기 발견과 원인·징후와 증상 5가지건강한 삶 2023. 1. 4. 15:16
자궁내막암은 자궁경부암, 난소암 다음으로 3위의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는데요. 다른 암에 비해 완치율이 높은 편입니다. 자궁내막암은 중년 여성의 암이라고 불릴 정도로 40대, 50대에 집중되어 있는데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병률이 높은 편입니다. 오늘은 자궁내막암의 원인과 징후 그리고 5가지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궁내막암의 조기발견과 원인/증상/징후 자궁내막암이란
자궁내막암은 자궁 몸통(체부)의 안쪽 벽을 구성하는 자궁내막에 생긴 암을 말합니다. 자궁내막은 부드러운 조직으로 이뤄져 있어 태아의 착상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한 암을 자궁경부암이라고 합니다. 자궁에 생긴 암이라도 발생 부위가 다른데 자궁내막암과 자궁경부암을 혼동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의 평균 발병 시기
자궁내막암 발병 자궁내막암의 평균 발생 연령은 60세이며, 대부분 50대 후반과 60대 초반에 발생합니다. 40세 이전이나 70세 이후에도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는 예후가 매우 좋지 않게 나타납니다.
경제성장과 식생활의 서구화 경향에 따라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실제로 서구 선진국에서는 부인암 중 자궁내막암 발병 빈도가 가장 높고, 55-70세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조기 발견
대부분의 경우, 자궁 내막 암의 징후와 증상은, 예를 들어 비정상적인 출혈이나 분비물 (양이 많아지거나, 기간이 지나거나 폐경 후 발생)을 발견하고 즉시 의사에게 알리면 이 질병은 초기 단계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은 암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위험 원인
자궁내막암 원인 자궁내막암의 발생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특히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비만, 만성 무배란성 월경, 무출산(불임증), 당뇨, 갑상선질환, 52세 이후에 폐경이 오는 노령 폐경, 자궁내막암 또는 유방암의 가족력 등이 자궁내막암 위험 요인들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암 증상 5가지
자궁내막암을 나타내는 몇 가지 증상이 있지만, 일부는 암이 진행됨에 따라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부정질출혈(폐경 전 과다월경이나 폐경 전후에 비정상적인 질 출혈)와 혈성대하(血性帶下)이며, 환자들의 약 90%에서 나타납니다.
자궁내막암 증상 1. 비정상적인 출혈과 혈흔
자궁내막암으로 진단 된 여성의 약 90%는 생리 기간 사이에 또는 폐경 이후에 비정상적인 출혈이 있습니다. 물론 이런 출혈은 암이 아닌 상황에서도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사에게 비정상적인 출혈을 즉시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분비물
만약 이미 폐경기에 있다면, 비정상적인 출혈이나 혈흔이나 분비물이 있을 때 의사에게 알리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혈액이 섞이지 않은 분비물도 자궁내막암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분비물에 혈흔이 없더라도 그것이 암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자궁내막암과 관련된 분비물 중 약 10%에서 혈흔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어떤 비정상적인 분비물이 있다면 의사를 만나야 합니다.
3. 골반통
자궁 밖으로의 전이가 있는 경우 골반압통이나 둔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장기에 전이된 경우에는 하복통, 압통, 혈뇨, 빈뇨, 변비, 직장출혈, 요통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응어리(종양)
5. 체중감소
골반통, 응어리 (종양),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량은 자궁내막암 증상 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자궁내막암의 후기 단계에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이 있어도 의학적인 도움이 늦어진다면 자궁내막암은 더 진행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치료의 확률을 낮아지게 합니다.
징후
자궁내막암은 폐경 여성에게 일차적으로 나타납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폐경기 이후 연령층이 증가하면서 자궁내막암도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유전성도 잘 살펴야 합니다.
가족 중에 자궁내막암 뿐 아니라 유방암, 대장암 환자가 있다면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여성 호르몬에 의한 자극에 반응
자궁내막은 생리 주기에 따라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며 호르몬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유방암과 더불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폐경기 이후 여성들의 호르몬 보충요법, 늦은 폐경, 이른 초경, 출산 여부, 비만 등 여성 호르몬에 의한 자극이 지속되면 자궁내막암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자궁내막암의 효과적 예방방법
운동하기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자궁내막암 예방법 중의 하나가 규칙적인 운동입니다. 운동은 만능 치트키입니다.
비만 예방 등 앞에서 열거한 위험 요인을 조심하는 게 예방법입니다. 불규칙한 질 출혈이 있거나 생리양이 너무 많다면 전문의와 상담 후 질 초음파로 자궁내막을 검사하는 게 좋습니다. 자궁내막 과다증식증과 같은 암의 전 단계 병도 빨리 치료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