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사 증후군의 원인과 대사 증후군이 유발할 수 있는 질환 종류건강한 삶 2023. 7. 18. 16:31
대사 증후군은 대표적인 생활 습관 질병인데요. 대사증후군은 하나의 질병이라는 개념보다는 유전적 요인과 여러 환경적인 요인들이 겹쳐서 발생하는 포괄적 질병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사 증후군의 원인과 예방 방법, 대사 증후군이 유발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사증후군 대사 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고혈당과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죽상 경화증 등의 질병등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대사증후군은 당뇨병과 고혈압을 비롯한,신장, 심뇌혈관질환들의 발생 위험도를 높이며, 각종 암 발병률을 높이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고 질병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국민 중 약 25% 정도가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비만 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생 비율이 큰 폭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사 증후군 원인
주된 발병 원인은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에 대한 신체 반응이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슐린에 대한 반응 감소 근육 및 지방세포가 포도당을 잘 섭취하지 못하면서 이에 더욱 많은 인슐린이 분비가 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짠음식과 가공식품 섭취 이렇게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평소 생활습관과 관련이 깊으며, 그중에서도 평소 식습관에 의해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복부 비만, 고혈압, 공복 혈당장애, 고중성지방, 낮은 HDL콜레스테롤 등 이 5가지 중 3개 이상 해당된다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됩니다.
대사증후군의 증상 및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올바른 식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사 증후군이 유발할 수 있는 질환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외에 특징적 증상이 없지만, 방치시 심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그 외 다양한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은 의외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1.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기도 협착으로 순간 호흡이 멈춰 자주 잠에서 깨는 수면질환입니다. 코골이, 두통, 만성피로가 대표적 증상입니다.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이 2009~2018년까지 성인 1,011만 3,560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1.9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파킨슨병
대사 증후군이 유발하는 질환들 파킨슨병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몸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고 운동이 뻣뻣해지는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요.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연구팀이 2009~2012년까지 40세 이상 성인 1,716만 명 대상으로 파킨슨병 발병 여부를 추적 관찰한 결과 대사증후군 환자의 발병률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2.2배 높았다고 합니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5가지를 모두 만족할수록 발병 위험은 더 급증했습니다.
3. 대장암
고대 구로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2009~2012년까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280만 9,722명을 연구한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남성은 대장암 발병률이 1.4배, 여성은 1.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지어 대사증후군 5가지 진단기준 중 중 2가지만 충족해도 대장암 발병 위험도가 증가해 경각심을 안겨줬습니다.4. 치주염
인제대 서울백병원 연구팀이 2010~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만 3,196명을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주염 발생 위험이 최대 1.52배 높았습니다.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을 더 많이 충족할수록 위험도는 점차 증가했습니다.
대사 증후군 예방 방법
대사증후군은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 3가지만 지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식이요법
비만을 예방하고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식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 정상체중을 초과했다면 평소보다500~1000kcal 정도 덜 섭취하도록 노력하고, 포화지방이나 트랜스 지방 섭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 야채, 과일 등 섭취로 섬유질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섬유질은 장 내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장내 세균들이 장에 흡수되는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대사증후군에 도움되는 식품 2. 운동하기
식이조절과 함께 꾸준한 운동이 병행돼야 적정체중 유지가 가능한데요. 단순히 음식 섭취를 줄이거나 극단적인 체중조절은 오히려 요요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 3회, 1회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의 강도로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허벅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근력운동의 병행이 중요합니다. 해외 다양한 논문을 통해 허벅지가 굵을수록 당뇨병, 심장 혈관질환이 덜 발생한다는 사실이 보고됐습니다.
3. 장 건강
장 건강도 대사증후군 예방에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인데요. 장건강이 면역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기타 주의할 점식사를 하기 전 많은 분들이 간식을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간식은 주로 당분 함유가 높은 빵, 과자, 음료수 등을 많이 먹는데, 이 경우 체중 증가를 유발해 대사증후군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특히 주요 성분이 액상과당인 탄산음료 같은 경우 우리 몸에서 흡수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킵니다.
그러므로 식사를 하기 전 간식은 최대한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섭취하더라도 칼로리가 낮은 식품류들을 선택해 소량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3.03.22 - [건강한 삶] - 몸 속 독소 배출이 잘 안될 때 나타나는 증상 9가지
2023.01.27 - [건강한 삶] - 몸 속 염증 줄여주는 슈퍼 푸드 15가지 총 정리
2023.06.21 - [건강한 삶] - 당뇨병에 나쁜 음식 10가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