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드센스 세금 정보 지급 보류와 누락된 세금 정보 해결 비하인드 스토리티스토리 2022. 2. 4. 00:14
복잡하고 긴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오늘 하루 애드센스 세금 양식 제출하느라 머리에 쥐가 나는 줄 알았습니다. 그동안 1일 1포에만 매진하느라 수익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신경 쓰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100달러가 넘은 것을 확인하고는 무심코 애드센스에 접속하는 순간 빨리 세금 양식을 제출하라는 애드센스의 재촉 문구를 보고 그때부터 세금 양식과의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티린이라 티스토리 개설할 때부터 물어물어 여기까지 왔는데요. 애드 고시 패스부터 시작해서 pin번호도 받아야 하고 100달러가 넘어야 지급을 받을 수 있다기에 세금 문제는 먼 얘기라고만 생각하고 미리 공부를 하지 않았던 것이 저의 큰 실수였습니다. 모르는 용어부터 시작해서 숫자에 약한 저는 세금의 ㅅ 자만 봐도 머리가 멍해지거든요.
가장 큰 난관은 어이없게도 영문 이름 때문이었습니다. 그 당시 정신이 하나도 없어서 영문 이름 오류창은 캡처를 못했는데요. 마지막 단계에서 작은 창이 뜨면서 제 이름이 실제 기록과 다르다며 신분증 제출을 요구하는 것이었습니다. 10만 원 받으려고 미국 구글 애드센스 본사에 신분증을 제출해야 하다니 너무 당황스러웠습니다.
결국 처음부터 다시 세금 양식을 제출하기로 하고 영문이름 스펠링을 다르게 해서 입력해봐도 계속하여 문서 제출하라는 창만 뜨길래 이러다 힘들게 벌은 지급금을 못 받게 되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한 생각에 기운이 쫙 빠지더군요. 일은 하나도 손에 안 잡히고 갈증만 났습니다. 티스토리로 돈 벌기 힘들다더니 난 영문 이름 하나 기재 못해서 벌은 돈도 지급 못 받게 생겼구나라는 생각에 말입니다.
갑자기 10만원이란 돈이 100만 원으로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내 것이 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금액이 커 보이더군요. 신분증 촬영만이 답인가 보다고 생각하다가 일단 폭풍 검색부터 시작했습니다. 영문이름 하나 때문에 세금 인증을 못하는 상황이 코믹하기까지 했으니까요.
한데 애드센스 미국 세금정보 제출 방법에 대한 포스팅은 많았는데요. 제가 검색어를 지정을 못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영문 이름 누락에 따른 해결 방법은 거의 안보이더군요. 그러다 드디어 문서누락으로 인한 해결방법을 포스팅한 선배님의 글을 보고는 '유레카'라고 속으로 외쳤답니다. 근무시간이었거든요.
아마도 저와 같은 실수를 하신 분들이 은근히 계시긴 했었나 봅니다. 어떤 분은 신분증 제출을 했는데도 오랫동안 지급을 못 받고 있다고 합니다. 신분증 제출은 최후의 보루여서 신중하게 접근하느라 오래 걸릴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어찌 됐든 저는 오늘 안으로 해결해야만 했습니다. 불면증에 시달리긴 싫었으니까요.
드디어 힘겹게 제출한 세금 양식이 승인이 되었습니다. 신분증 제출을 안 해도 되니 그 부분이 좋았습니다. 너무 귀찮은 일이잖아요.
뭐든지 알고 나면 시시하기까지 합니다. 모르면 바보 그 자체가 되버립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남의 돈 냠냠하는 게 역시 쉬운 일은 아니라는 건 새삼 깨달았습니다. 더구나 구글을 상대로 말입니다.
비하인드 스토리는 여기까지 입니다. 제 글을 읽어주실 분이 계실진 모르지만 저 같은 실수를 하신 분이 계시다면 부디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어서 서론이 길었습니다.
◈ 구글 애드센스 세금 정보 지급 보류 시 제출 방법 ◈
세금양식지급보류 1) 애드센스 →지급→결제 정보 →설정관리로 이동합니다.
2) 미국 세금정보 클릭하시면 계좌 유형이 보입니다. 개인에 체크해 주세요.
세금 양식 유형은 W-8 BEN를 체크합니다. 이 유형은 미국 외 개인이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하네요.
미국세금정보 3) W-8BEN 세금 양식 양식에서 영문 이름을 기재합니다. 주소도 영문으로 변환합니다. 본인 외환 통장 영문 이름과 애드센스 가입 시 영문 이름이 똑같아야 합니다. 만약 이 부분에서 통과가 되셨다면 문제가 없는데요. 저처럼 문서누락일 경우엔 다르게 접근합니다.
▶문서누락일 경우 : 애드센스 → 지급 → 결제정보 → 결제 계정 닉네임과 이름과 주소 →모두 동일하게 영문이름으로 편집합니다. 저는 한글 이름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결제계정닉네임 결제정보 4) 조세조약은 '아니요' 를 체크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거들은 대부분 국내에서 활동하기 때문입니다. 기본 원천징수는 30%라고 나와있지만 미국과 우리나라는 조세조약을 맺었기 때문에 10%만 부과한다고 합니다.
조세조약 5) 이제 거의 다 끝나갑니다. 앞에 영문이름이 잘 기입이 되어 있었다면 자동으로 뜹니다.
세금정보양식 ▶ 미국에서 활동하진 않지만 구글을 사용하므로 체크하시고 상태 변경 진술서에 저는 신규로 체크했습니다.
증명서 6) 중간에 실수만 하지 않는다면 승인이 완료됩니다.
세금정보 승인 ■ 마무리
어제 급하게 포스팅하느라 제대로 마무리를 못해 오늘 살짝 수정합니다. 역시 세금문제는 예민해서 저처럼 초보이신 분들은 서두르지 마시고 천천히 작성하기 바랍니다. 메일함을 보니 Google Payments에서 세금 정보 추가하라는 내용이 10개나 왔더군요. 그만큼 제가 실수를 많이 했다는 거죠. 만약 문서누락이라고 뜨면 신분증 제출까지는 안하셔도 됩니다새로운 세금 양식을 제출하면 되니까요. 2개월여만에 10만원을 벌었지만 제겐 값지고 비싼 구급이 될 것 같습니다.
2021.12.02 - [티스토리] - 티스토리 첫 가입과 에드센스 신청
2022.01.12 - [티스토리] -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PIN 등록 방법
2022.01.10 - [티스토리] - 티스토리 외환 통장 개설하고 계좌 등록 하는 방법
728x90